본문 바로가기
투자 이야기/투자 공부

몰빵 투자? 분산 투자? 성공하는 집중 투자의 3가지 원칙

by 곰같은 남자 2021. 4. 11.

투자의 세계에 발을 담그신 분들이라면 모두가 한 번쯤은 하는 고민이 있습니다. 죽을 때까지 결론이 날 것 같지 않은, 영원한 숙제와도 같은 그 질문. 맞습니다.

바로 "집중 투자를 해야 하는지, 분산 투자를 해야 하는지"입니다.

 

주변 대부분의 투자자가 집중 투자를 하는 것과 다르게, 저는 분산투자를 하고 있습니다만, 저 역시 집중 투자에 대한 동경이 있습니다. 기업을 제대로 선택한다면 분산 투자보다 집중 투자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큰 수익이 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아직은 집중 투자를 할 계획이 없습니다. 성공하는 집중 투자자가 되려면 반드시 3가지 원칙을 충족해야 하면 한다고 생각하는데, 저는 턱없이 모자라기 때문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집중 투자자의 3가지 원칙은 무엇일까요?

 

기업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안목이 필요하다.

비록 적은 금액이지만 집중 투자를 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재무제표도 열심히 공부해보고, 사업 내용도 꼼꼼하게 읽어봤지요. 단기간의 공부로는 한계가 있지만, 제가 평가할 때 꽤 준수하다고 느껴지는 기업의 주식을 매수했습니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주식을 매수한 순간부터 보유하고 있는 기업의 평가를 낙관적으로 하기 시작했습니다.

좋지 않은 뉴스가 나오면, "누군가 또 개미들 털어내려고 찌라시 뿌리는구먼", 좋은 뉴스가 나오면 "이제 갈 때가 됐군... 상한가 한번 가보즈아!"가 되더군요. 

 

하지만 집중 투자자라면 자신이 투자한 기업을 객관적이며 냉철하게 바라보는 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한 안목은 결국 기업을 얼마나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에 따라 결정이 되겠지요. 기업의 사업 방향, 전체 시장에 대한 전망, 수익 구조와 리스크, 경영진의 능력과 도덕성 등 고려할 부분은 수 없이 많습니다. 

자신이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기업은 냉철한 시각을 갖기가 어렵습니다. 

출처 : 구글

 

워렌 버핏 선생님께서 이런 말을 하셨습니다. 

"10년을 보유할 주식이 아니면, 10분도 보유하지 않는다." 

이 말의 뜻이 무조건 장기 투자를 하라는 뜻으로 들리지 않습니다. 그보다는 자신이 투자한 기업의 미래 전망이 또렷하게 머릿속으로 그려지는 기업에 투자하라는 뜻으로 들립니다. 너무나도 당연한 말입니다. 10년을 보유하려면 10년을 내다봐야 하니까요. 

 

 

높은 변동성을 견딜 수 있는 인내심이 필요하다.

좋은 기업을 선택했더라도 시장은 우리의 강인한 결단력이 아직도 유지되고 있는지 계속해서 물어봅니다. 어느새인가 바짝 다가와 귀에다가 속삭이지요.

"너가 이래도 버틸 수 있겠어?"

 

우리가 그토록 사랑하는 애플은 얼마 전 시가총액이 우리나라 코스피 전체의 시가총액을 뛰어넘었습니다. 정말 어마어마한 규모의 글로벌 기업이 되었지요. 하지만, 애플이 주식시장에 상장된 이후 무탈하게 그 어떤 부침 없이 지금의 시가총액을 달성할 수 있었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애플에서 퇴출된 스티브 잡스가 1997년 애플에 복귀하기 전까지 1990년대 애플의 주가는 -70%의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몇 년 후 2001년 IT 버블 기간에는 또다시 -75% 손실을 기록하며 많은 투자자들의 눈에서 피눈물을 흘리게 만들었습니다.

출처 : 픽사베이

 

그러한 고난의 시간을 버티고 지금까지 버텨온 투자자라면 어마어마한 수익을 돌려받았을 겁니다. 집중 투자는 아무리 좋은 기업을 선별할 수 있는 눈을 가졌다고 하더라도 높은 변동성을 견딜 수 있는 강한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이는 단순히 차트로 과거를 되돌아보는 것과는 다른 이야기입니다. 실제로 몸으로 느끼는 끝없는 추락은 이번 코로나-19 장에서 많이 느껴봤을 거라 생각합니다. 인내심이 없었던 투자자는 몇 번의 폭락장에서 큰 손실을 입고 주식시장에서 퇴출됐을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자신의 생각과 다르게 갈 때, 대응방법을 준비해야 한다.

많은 경험과 안목이 있는 투자자가 아닌, 대부분의 일반 투자자는 주식을 매수하면서 오를 것만을 기대하고 삽니다. 주식이 하락하는 시나리오는 크게 고려하지 않습니다.

당연하기는 합니다. 오를 거라 생각하고 사지, 떨어지거라 생각하고 사는 사람은 없으니까요. 언제나 높은 수익률에 대한 환상만이 가득합니다. 그렇기에 자신이 주식을 매수한 후 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하면 패닉에 빠집니다.

출처 : 픽사베이

 

보통은 이때 물타기기계적 손절이라는 두 가지 방법으로 대응합니다.

하지만 기업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준비되어있지 않으면 한 두 번의 물타기로 큰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또한 어설프게 분석하고 매수한 주식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 추가 매수 버튼을 누르는 게 쉽지 않습니다.

떨어지는 칼날을 잡았다는 공포감이 밀려오고, 돈을 넣으면 넣을수록 손해 금액이 더욱 커질 것 같은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기계적 손실은 원금 손실이 크게 발생하지 않도록 방어해줍니다만, 태생 자체가 변동성이 큰 주식이라는 자산을 기계적으로, 단기간 많은 횟수로 손절하면 돌이킬 수 없는 계좌 상황이 연출됩니다. 

 

추천 글 : [ 대책 없는 주식 물타기가 위험한 이유 ]

 

하락장에서 주식 물타기가 위험한 이유 [마틴게일 투자법]

얼마 전 친구들이 집으로 놀러 왔습니다. 모두가 주식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에 소주 한 잔이 들어가는 순간부터 주식 이야기를 하는데, 최근에 주식을 시작한 친구가 이야기했습니다. "야, 주가

lljjww.tistory.com

 

분명히,

냉철한 눈으로 크게 성장할 기업을 찾아 집중 투자한다면 일반 직장인이 상상할 수 없는 큰 수익을 거둘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기업을 발굴하기 위해서는 역시나, 공부뿐입니다. 강인한 인내심과 하락장에서의 대응 방법은 기업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전체 시장 상황에 대한 높은 이해가 있다면 자연스럽게 찾아진다고 생각합니다. 

어설픈 투자와 어설픈 정보로 자신의 전 재산을 몰빵 하는 것은 굉장히 위험합니다.

 

시장과 기업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좋은 종목을 고르셔서 성공적인 투자가 되기를 바라겠습니다. 저 또한 초보 투자자이기 때문에 안목이 조금 쌓일 때까지 열심히 공부, 또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틀린 정보가 있다면 고견을 남겨주세요. 보답하는 마음으로 열심히 공부하고 성장하겠습니다.

여러분 모두 성공적인 투자 하시기를 기원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