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이야기/투자 공부

[투자공부] 각 국은 금을 얼마나 갖고 있을까? [전 세계 나라 금 보유량]

by 곰같은 남자 2020. 12. 26.

안녕하세요.

저는 자산배분을 통해 투자를 하고 있는 초보 투자자입니다. 자산배분은 주식, 채권, 원자재, 금 등 다양한 자산군에 비율을 나눠 투자를 진행하게 되는데, 문득 개인단위 포트폴리오의 금 비중이 아닌, 각국은 금을 얼마나 보유하고 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오늘은 각국 금 보유량과 안전자산인 금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각 국 금 보유량 확인 방법

인터넷에 각 국 금 보유량이라고 치시면 뉴스 기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지만 정확히 원하는 정보가 잘 나오지 않더군요. 아래의 사이트를 들어가면 각국 금 보유량을 바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 각국 금 보유량 확인 사이트

 

Gold Reserves - Countries - List

 

tradingeconomics.com

전 세계 별로, 대륙별로, G20별로 잘 정리가 되어있네요.

 

역시나 금보유량 1등은 미국입니다. 압도적입니다.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3 국가를 합친 수와 비슷합니다. 그 밑으로는 미국과 치열한 경제 전쟁을 펼쳐나가고 있는 중국도 보이고, 옆 섬나라 일본도 보이네요. 그런데 대한민국이 보이지 않습니다. 위의 사이트로 들어가셔서 보면 대한민국은 조금 더 아래에 있으며, 보유 금은 104톤으로 나오네요. 우리나라보다 경제력이 약한 우즈베키스탄 레바논보다도 보유하고 있는 금이 적습니다. 

 

왜 대한민국은 보유 금이 비슷한 경제 대국에 비해 적을까?

궁금하여 인터넷 기사를 찾아보니 2019년 9월 3일 머니투데이 기사가 잘 설명해주고 있더군요.

출처: 머니투데이, 자료: 한국은행

외화 보유액의 1.2% 정도를 금으로 갖고 있으며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급격하게 금 보유량을 늘린 이후에 현재까지 금 보유량은 변화가 없습니다. 이는 채권은 지급 이자가 있고, 주식은 배당이 있지만, 금은 보유한다고 하여도 별다른 수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인데요. 또한 금은 보유하면 보관비용이 필수적으로 생기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 금이 어떻게 보관는지는 금 ETF(제가 투자하고 있는 IAU) 때 묶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그렇다면 금을 왜 갖고 있어야할까?

전 세계적인 이슈로 경제 정치 사회가 혼란에 빠졌을 때 금은 그 가치를 인정받습니다. 모든 위험자산이 불안하니 돈을 빼 안전한 곳으로 돈을 옮기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다들 아시다시피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이죠. 이번 코로나 때에도 급격한 주식 하락이 있었으나 금은 상승했습니다.

 

위는 대한민국 금 시세, 아래는 금 ETF IAU

 

국가가 아닌 개인단위에서도 금은 이러한 자산 폭락 시기를 대비해 일정 비율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예기치 못한 문제가 나타나 모든 자산군이 폭락할 때 금이 전체 자산을 헤지(Hedge)해주기 때문입니다.

물론 전 세계 거시 경제 상황을 단 번에 읽어내고 지금 어떤 자산군이 폭등할 테고, 어떤 자산군이 폭락할 것을 안다면 금을 평소에 일정 수준 이상 보유해야 할 필요는 없을 겁니다. 하지만, 개인 단위에서의 경제 예측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혹시 모를 악재에 대비해 일정 수준의 금을 자신의 포트폴리오에 추가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초보 투자자의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의 오류가 있어도 초보 투자자임을 감안하여 이해해주시기를 바랍니다.

고견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열심히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 모두 성투하시고, 부자 되기를 간절히 기원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