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 관련 소식은 경제 뉴스에서 빠지지 않는 단골손님입니다. 그런데 기사를 한참 읽다 보면 뜬금없이 매파와 비둘기파라는 동물 두 마리가 튀어나옵니다. 두 동물이 상징하는 의미와 경제 정책 방향이 어떻게 다른지 알지 못하면 통화 정책 뉴스의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깁니다.
오늘 짧은 글을 통해 그들의 정책 방향이 어떤지 알아두시면 앞으로 경제 기사를 더 수월하고 재밌게 읽으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매파와 비둘기파의 유래
원래 두 동물은 경제 용어가 아니었습니다. 1960년대 베트남 전쟁시기에 사용되던 정치-외교적 용어입니다. 전쟁을 지속하고 확대해 나가야 한다는 강경파를 매의 날카로운 성향에 빗대어 '매파'라고 했으며, 전쟁을 중단하고 외교적 대화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던 온건파를 평화의 상징인 비둘기에 빗대어 '비둘기파'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이제는 국가의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사람의 성향을 구분 짓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쉽게 생각하면 정치에서 진보와 보수로 나누는 것과 비슷합니다.
매파는 어떤 정책을 펼치는 사람들일까?
매파의 가장 큰 정책은 물가 안정입니다. 긴축 정책과 금리 인상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억제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원리는 간단합니다. 금리가 낮으면 사람들이 은행에 저금을 하지 않고 소비를 하게 되면서 시중에는 점점 돈이 풀리게 됩니다. 금리까지 낮은 상황이니 빚을 내기도 쉽습니다. 저금리 대출을 통해 소비와 투자를 하게 됩니다. 이곳저곳에 돈이 풀면서 화폐가치가 하락하게 되고, 물가가 상승하는 인플레이션 압박을 받게 됩니다.
이때 금리 인상을 하면 사람들이 높은 이자가 두려워 대출금을 줄여나갑니다. 금리가 높으니 소비보다는 저축을 하려는 성향들도 강해지게 되지요. 시중에는 점점 돌아다니는 돈이 줄어들게 되고 화폐의 가치가 상승하면서 물가가 안정을 찾습니다.
하지만 물가는 안정될지 몰라도 시장에 돈이 원활하게 돌아다니지 않으니 경제 성장이 둔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비둘기파는 어떤 정책을 펼치는 사람들일까?
요즘은 비둘기가... 닭둘기라서 이미지가 좀 그렇기는 하지만, 원래 비둘기는 평화의 상징이자 온건함의 상징입니다. 경제용어에서도 비둘기는 비교적 긴축 정책보다는 비교적 완화적인 경제 정책을 통해 경제 성장을 추구합니다. 이들은 매파와 다르게 금리 인하를 주장합니다.
금리를 낮추고 경기 부양 정책을 쓰기 시작하면 시중에 조금씩 돈이 유통되기 시작합니다. 사람들이 금리가 낮으니 저축보다는 소비 성향이 높아집니다. 사람들의 소비가 늘어나게 되면서 기업들도 생산 시설 확충 등의 투자를 위해 은행에서 돈을 빌려옵니다. 시장에 유동성이 풍부해지며 경기가 활성화됩니다.
하지만, 적절한 수준의 인플레이션을 넘어 물가가 계속 상승하게 되면 자산 시장에 버블이 끼게 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매파와 비둘기파가 결코 영원한 것은 아닙니다.
경제 상황에 따라 매파로 분류되는 사람이 비둘기파가 되기도 하며, 그 반대가 되기도 합니다. 또한 이들이 "나 매파요!' 혹은 "나는 비둘기파요!"라고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들이 걸어온 발자취나 발언 등을 기반으로 사람들이 나눈 것뿐입니다.
그보다는 전반적인 느낌을 읽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비둘기파의 의견이 좀 더 우세하다는 의견이 나오면 완화적인 경제 정책을 펼치겠구나 생각하고, 매파의 의견이 좀 더 우세하다는 내용의 뉴스가 나온다면 슬슬 긴축 정책을 대비하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 라는 생각하면 되지 않을까요.
PS. 매파와 비둘기파 말고도 올빼미파가 있습니다. 이들은 매파와 비둘기파 중간 성향을 가진 세력을 이야기합니다.
추천 글 : [ 돈이 얼마나 풀렸는지 확인하는 통화 지표 M1, M2, M3(Lf), L은 무슨 뜻일까? ]
요구불예금? 쉽게 설명하는 통화지표 M1, M2, M3(Lf), L
중앙은행의 가장 중요한 임무 중 하나는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의 양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너무 과하게 발행하거나, 너무 모자라게 발행하면 문제 생기지요. 특히나 요즘같이 각 국에서 경기부
lljjww.tistory.com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틀린 정보가 있다면 고견을 남겨주세요. 보답하는 마음으로 열심히 공부하고 성장하겠습니다.
여러분 모두 성공적인 투자 하시기를 기원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