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금을 투자하는 가장 쉬운 방법인 IAU ETF에 대해서 적어봤습니다. 그런데 금과 항상 붙어서 이야기하는 것이 '은'아닐까 싶습니다. 금은보화라고 할 만큼 금과 은은 짝꿍처럼 붙어 다닙니다. 그래서 오늘은 금 ETF를 적은 김에 은 ETF, SLV ETF와 SIVR ETF에 대해서도 적어보려 합니다.
은을 현물로 사도 되지만 수수료와 세금 때문에 그다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국내에 증권 시장에 상장된 은 선물 ETF로 투자할 수도 있지만, 수수료도 높고, 선물 상품이라 그보다 조금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는 미국 증권 시장 ETF를 추천합니다.
SLV ETF?, SIVR ETF?
SLV ETF의 정식 명칭은 iShares Silver Trust입니다. 블랙록에서 운용하고 있으며, 명실상부 은 ETF를 대표합니다. 2006년 4월 21일 상장되었고 운용 규모는 약 14조 원, 운용 수수료는 0.50%, 하루 거래량은 5,700억 원입니다.
SIVR ETF는 Aberdeen Standard Physical Silver Shares ETF로, Aberdeen Standard investments에서 운용합니다. 2009년 7월 24일 상장되었으며, 운용 규모는 약 1.1조 원, 운용 수수료는 0.30%, 하루 거래량은 120억 원 수준입니다.
두 상품은 은 선물을 추종하는 것이 아니라 현물 가격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금 투자 ETF인 IAU에서도 이야기했지만, 금과 은은 영국귀금속시장협회(LBMA) 가격을 기준으로 하는데, 여기서 24시간 거래되는 가격을 추종합니다.
현물에 기반한 상품이기 때문에 롤오버가 없습니다. 실제 은 값을 추종하는 상품을 원하시는 투자자분에게 매우 적합하다 생각합니다. 또한 두 상품 모두 배당은 없습니다.
LBMA(London Bullion Market Asoociation) 홈페이지에서 런던 시간 기준으로 10:00, 15:30분마다 가격을 공시하고 있습니다. 인터페이스도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아래 링크에서 쉽게 가격 변동과 차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은, 금 가격 확인 사이트 : [ London Bullion Market Asoociation ]
LBMA Precious Metal Prices
International prices for gold, silver, platinum and palladium.
www.lbma.org.uk
SLV ETF와 SIVR ETF 중 무엇을 선택할까요?
장점과 단점이 확연합니다. SLV는 블랙록에서 운영하는 만큼 신뢰가 가는 브랜드이며, 규모나 하루 거래량 모두 풍부합니다. 사고파는 데에 크게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SIVR ETF에 비해 운용 보수가 높습니다.
그렇다면 운용 수수료가 저렴한 SIVR ETF로 투자를 해야 할까 생각할 수 있지만, 그것도 좀 애매합니다. 규모가 매우 작으며 운용사도 유명한 브랜드는 아닙니다.
거기다가 거래량이 풍부하지 않으면 거래 슬리피지(내가 매수하고 싶은 가격에 파는 사람이 없어서 높게 사거나, 내가 매도하고 싶은 가격에 사는 사람이 없어서 낮게 팔거나)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슬리피지가 운용 수수료보다 더 많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투자하시는 자금 규모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정 규모 이상의 자금이라면 거래량이 풍부한 SLV ETF를 선택하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은 ETF에 대한 생각
▶ 애매한 포지션의 상품
은은 금과 비슷하게 인플레이션 헷지 기능을 합니다. 거기다가 금과 다르게 산업용 자재로도 많이 쓰여서 경기가 호황으로 접어들어 기업 생산이 늘어나면 수요가 증가하는 상품이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이런 상황, 저런 상황에도 투자하기 괜찮은 상품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실질 화폐 가치를 지키려면 은보다 금이 나은 상품으로 보이고, 경기 호황 국면이 열리면 은보다 주식이 더 나은 상품으로 보인다는 제 개인적인 판단입니다. 이때도 좋고, 저때도 좋은 상품은 어쩌면 이도 저도 아닌 상품일 확률이 높습니다.
- 실물자산의 이점
기업에 투자를 했는데 파산하면 주식은 휴지가 되어버립니다. 채권도 마찬가지이지요. 삼성전자 채권을 갖고 있는데 삼성전자가 망하면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하지만, 은은 다릅니다. 실물 자산이기 때문에 파산하지 않습니다. 전 세계 모든 사람이 은을 땅바닥에 굴러다니는 돌멩이로 생각하기 전까지 은은 가치가 있는 상품입니다.
또한 채광을 해야지 나오는 광물이기 때문에 일정 수준 가격 이하로 내려가지 않습니다. 은을 캐는 비용보다 은 값이 싸면 사람들이 은을 채광하지 않을 테고, 그러면 자연스럽게 은 가격이 올라가겠지요. 매장량만큼만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이 됩니다.
- 금과 은의 가격 차이
금과 은은 비슷한 성질의 투자 상품이기 때문에 금과 은의 가격 스프레드가 비교적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입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조금 더 이해가 수월합니다.
그래프가 상승하면 금값이 은값 대비 높은 것이고, 그래프가 하락하면 금값이 은값 대비 낮은 구간입니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약 40년간 일정 수준(40~90 사이) 범위에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Gold Sliver ratio가 40까지 내려오면 조금 더 공격적으로 금에 투자해볼 만하고, 100까지 가면 어느 정도 금을 매도하면서 은을 매수하는 게 좋은 선택일 될 수 있겠지요. 너무 욕심만 부리지 않으면 될 듯합니다.
그러나 과거의 데이터로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언제나 위험합니다. 조금 더 투자 상품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시고 위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금은 가격비는 Gold Price라는 사이트에서 제공하는데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금-은 가격비 보는 사이트 : [ Goldprice ]
Gold Silver Ratio
goldprice.org
추천 글 : [ 과거 20년 미국 주식 역사와 기술주 투자에 대한 생각 ]
과거 20년 미국 주식 역사와 기술주 투자에 대한 생각
저는 주변 사람들의 투자 이야기 듣는 것을 좋아합니다. 나랑 어떤 점이 다른지, 내가 배울 점은 무엇인지 항상 생각하고 복기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최근 블로그 글을 쓰려고 카페에 나왔다가
lljjww.tistory.com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틀린 정보가 있다면 고견을 남겨주세요. 보답하는 마음으로 열심히 공부하고 성장하겠습니다.
여러분 모두 성공적인 투자 하시기를 기원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