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나이를 셀 때 만 나이를 표준으로 하지만 대한민국은 유일하게 나이 세는 방법이 다릅니다. 이를 세는 나이라고 하지요. 거기에 연 나이라는 개념도 있어서 더욱 사람을 헷갈리게 합니다. 그렇기에 매년 나이 계산법을 통일하자는 사회적 목소리가 나오고는 합니다.
세는 나이와 연 나이, 만 나이는 무엇이 다른가요?
▶ 세는 나이
한국식 나이 계산방법입니다. 엄마 배속에서 태어나자마자 바로 1살이 되고, 연도가 바뀌면 한 살을 더 먹는 개념이지요. 만약 2021년 12월 30일 날 아기가 태어나면 바로 1살이고, 이틀 후 2022년 1월 1일이 되자마자 나이가 2세입니다. 고작 이틀 만에 2년이 지나가버리게 됩니다.
▶ 연 나이
현재 년도에서 태어난 년도를 빼는 단순한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2000년 생의 연 나이는 현재(2021년) - 태어난 년도(2000년)을 하여 21살이 됩니다. 연 나이는 조금 어색할 수도 있는데 현재 음주가무를 즐기는 대학생이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만 19세부터 술, 담배 구매가 가능한데 12월 31일 00시가 넘어가면 생일이 지나지 않더라도 모두가 담배와 술을 살 수가 있지요. 이때 연 나이를 적용해서 그렇습니다. 군입대도 마찬가지입니다. 생일이 지난 것과 상관없이 연 나이 기준으로 19세가 넘으면 병역 해당자로 분류됩니다. 만 나이를 기준으로 하면 개별적으로 매번 생일이 지났는지 지나지 않았는지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연 나이를 적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만 나이
전 세계적으로 쓰이는 나이 계산법입니다. 태어났을 때를 0살, 이후 내년 생일이 지나면 나이를 한 살 더 먹게 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되면 같은 연도에 태어난 사람이라도 생일이 지났는지 지나지 않았는지에 따라 나이가 한 살씩 다르게 됩니다.
만 나이가 자리잡지 못하는 것은 호칭과 서열을 중요시하는 우리나라 문화의 특성도 있다고 봅니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문서에는 만 나이를 적게 되어있습니다.
만 나이 계산법
생일을 기점으로 연 나이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게 가장 간편하고 빠릅니다.
①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만 나이는 연 나이 - 1입니다.
2000년 6월 1일에 태어났는데, 현재 2021년 4월 1일이라 가정해보겠습니다. 연 나이는 2021년 - 2000년으로 21세입니다. 이때 생일이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1을 해주어 만 나이는 20세가 됩니다.
② 생일이 지났다면, 만 나이는 연 나이와 같습니다.
2000년 6월 1일에 태어난 사람이고 현재 2021년 12월 25일이라 가정하겠습니다. 그렇다면 만 나이와 연 나이는 같기 때문에 2021년 - 2000년인 21세가 만 나이입니다.
거꾸로 계산하면 만 나이에 해당하는 년도도 쉽게 계산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만 60세가 몇 년생부터 해당되는지 계산해보겠습니다.
올해 생일이 지나신 분이라면, 현재 연도(2021년) - 60(만 나이) = 출생 연도(1961년)로 1961년생이 해당됩니다.
만약 올해 생일이 지나지 않으신 분이라면, 현재 연도(2021) - 60(만 나이) = 출생 연도(1961년)-1년을 하여 1960년 생이 됩니다.
만 나이 통일화의 찬성과 반대 의견
▶ 통일화 찬성
연 나이, 세는 나이, 만 나이 등 너무 복잡한 나이 체계 때문에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이 야기되고 있으며 국민들도 헷갈리기 때문에 바꿔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특히나 점점 더 각국 간의 장벽이 허물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유일하게 다른 나이 체계를 쓰는 것은 고칠 필요가 있다는 것이지요. 이는 전 세계적으로 미터법을 쓰고 있는데 유일하게 자, 간, 리를 쓰는 것과 같다는 의견입니다.
▶ 통일화 반대
이미 고착화되어 굳이 바꾸지 않아도 된다는 의견입니다. 또한 굳이 사회적 비용을 들여서 새로운 시스템을 접목시킬 필요도 없다는 것이지요. 살아가는 데에 아무런 지장이 없고 자체적으로 만 나이, 세는 나이를 구분해서 계산만 할 줄 알면 된다는 주장입니다.
거기에 만 나이로 사람의 나이를 계산하면 우리나라 사람들 특유의 서열문화(형/동생)가 더 세밀하게 쪼개질 수도 있습니다. 기대했던 서열주의 타파가 아닌, 극심한 서열주의 문화로 빠지는 것을 우려하기도 합니다.
전 세계 인구수 순위. 인구 가장 많은 국가? 인구 가장 적은 국가?
제가 학교를 다닐 때만 하더라도 지구촌 60억 인구라는 말을 자주 사용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인구 감소다.', '고령화다.'라는 말이 많아서 전 세계 인구가 그다지 크게 늘어나지 않는 것처럼
lljjww.tistory.com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