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봄이 오면 반갑지 않은 손님, 미세먼지가 찾아옵니다. 많은 분들이 봄철에 대기 오염 농도를 확인하고는 하지요. 특히나 육아를 하고 계신 분들은 더욱 민감합니다. 그렇기에 외부의 미세먼지가 농도가 높을 때 창문을 걸어 잠그고 외부와의 환기를 철저하게 단절시키고는 합니다. 하지만,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미세먼지가 높은 날이어도 창문을 활짝 열어 집안의 공기를 환기시켜야 집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집니다.
미세먼지 기준과 농도 확인방법
지름에 따라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로 구분됩니다. 10㎛(마이크로미터) 이하는 미세먼지, 2.5㎛ 이하는 초미세먼지로 분류됩니다. 미세먼지는 보통 입자가 굵은 편이므로 먼지, 곰팡이 등이 대부분인데, 초미세먼지는 유기화합물들로 되어있는 경우가 많아 많은 사람들이 초미세먼지에 더 민감하지요. 참고로 황사는 10㎛이하의 흙먼지를 나타냅니다.
한국 환경공단에서 대기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할 수 있지만, 매번 사이트에 접속하는 게 번거롭습니다. 그렇기에 네이버나 다음 등의 국내 포털 사이트를 통해 확인하시면 됩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네이버가 조금 더 직관적인데, 다음이 군/구 단위까지 확인이 가능하여 다음을 기준으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다음 검색창에 '미세먼지'라고 검색합니다.
2.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자외선, 오존, 황사 중 확인하고 싶은 대기정보를 선택 후 도/시 단위를 선택합니다.
3. 대기정보 바로 아래 줄에 시/군/구를 클릭하여 미세먼지 농도 및 행동요령을 확인합니다.
왜 미세먼지가 높은 날에도 환기를 해야 할까?
일상생활을 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특히나 음식을 굽거나 튀길 때 많은 양의 미세먼지가 발생하게 됩니다. 청소를 하면서도 우리의 신체 움직임과 호흡으로 인해 미세먼지는 계속해서 만들어지지요. 보통의 가정은 외부보다 내부가 높은 미세먼지 농도를 갖고 있습니다.
공장의 굴뚝이나 차량의 매연으로부터 나오는 악성 미세먼지가 집 안에서 발생하는 내부 미세먼지보다 훨씬 나쁜 거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들 겁니다. 그러나 의사 선생님들의 대부분 일치된 의견은 둘 다 나쁘다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내부나 외부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모두 나쁘다면 환기를 통해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라도 낮추는 게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지요.
요즘 많이 사용하는 공기청정기가 대안이 될 수 있지만, 우리가 내뿜는 이산화탄소로 인해 환기는 필수적으로 해주어야 한다고 합니다. 당연히 잠깐 환기를 하고 창문을 닫은 후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게 내부의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데에 더 도움이 됩니다.
미세먼지 높은 날 미세먼지 줄이는 방법
1. 위의 미세먼지 농도 확인법을 참고하여 하루 중에 가장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때에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줍니다. 보통은 오전 10시에서 오후 19시까지가 가장 미세먼지 농도가 옅다고 합니다. 환기 시간은 5분~10분 정도면 충분합니다.
2. 창문을 열 때에는 맞바람이 불 수 있도록 집 안 양쪽의 창문을 열어두는 게 좋습니다. 집 내부 구조상 맞바람이 칠 수 없는 창문 구조를 갖고 있다면 열 수 있는 창문을 다 연후 환기 시간을 조금 더 늘리면 됩니다.
3. 환기 후 공중에 떠다니는 미세먼지를 잡기 위해 분무기를 이용해 물을 뿌려줍니다.
4. 공기청정기가 있다면 공기청정기를 틀어줍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반려식물을 키우면서 느낀 좋은 점
직접 느낀 반려식물을 키우면 좋은 점과 LG틔운
사람들은 스트레스가 심해질수록 마음의 위안을 얻을 무언가를 찾게 됩니다. 과거에는 반려동물이 그 자리를 차지했다면, 최근에는 식물을 가꾸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심리적 위안을 얻는
lljjww.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