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이야기/여행 정보

세계에서 출생아 수가 가장 많은 나라는 어디일까요?

by 곰같은 남자 2022. 8. 25.

출생률은 국가의 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인구가 적은 국가는 강대국으로 나아가기가 상대적으로 어렵지요. 그렇기에 대부분의 국가는 출생률을 높이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물론, 너무 출생률이 높아서 산아제한을 하는 나라도 있기는 합니다. 

 

 

어느 나라의 출생아 수가 가장 많을까요?

지구상에서는 매 4분마다 아기가 1,000명씩 태어나고 있습니다. CIA의 World Factbook의 데이터와 2022년 인구 추정치, 출생률을 기준으로 따졌을 때 가장 많은 아이가 태어나고 있는 국가는 인도입니다.

출생률이 아닌, 절대적인 출생아 수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14억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인도가 1위인 것은 어쩌면 너무나도 당연합니다. 1,000명의 아이를 기준으로 했을 때, 인도에서만 172명이 태어나고 있습니다. 사실, 인도의 출생률(1,000명당 신생아 수)은 16.8로 세계 평균 17.7에 비해 살짝 낮은 편입니다. 

 

2위는 역시나 예상 가능한 중국입니다. 1,000명의 아이 중 102명은 중국인입니다. 3위는 나이지리아로 1,000명 중 57명이 나이지리아인이 됩니다. 나이지리아는 인구 출생률도 상당히 높은 편으로, 1,000명당 신생아 수가 무려 34.2명입니다. 이는 세계 평균의 2배에 육박하는 숫자입니다. 미래에 상당한 인구 대국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실제로도 아프리카의 강대국이자 떠오르는 신흥국 중에 하나입니다. 

 

경제가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여성의 교육 수준이 낮아 사회 참여율이 저조하다는 것도 출생률이 높은 이유 중에 하나입니다. 아무래도 여성의 사회활동이 막혀있으면 자연스럽게 아이를 양육하고 살림을 하는 가정주부가 될 가능성이 높으니까요. 

 

▶ 1,000명당 출생아 순위 상위 10개 국가와 출생아 수.

1위 : 인도(아시아) 1,000명당 172명

2위 : 중국(아시아) 1,000명당 102명

3위 : 나이지리아(아프리카) 1,000명당 57명

4위 : 파키스탄(아시아) 1,000명당 47명

5위 : 콩고 민주공화국(아프리카) 1,000명당 32명

6위 : 인도네시아(아시아) 1,000명당 31명

7위 : 미국(북아메리카) 1,000명당 30명

8위 : 에티오피아 1,000명당 25명

9위 : 브라질(남아메리카) 1,000명당 22명

10위 : 방글라데시(아시아) 1,000명당 21명

 

위의 데이터를 보시면 알겠지만 아시아가 압도적입니다. 전 세계 출생아 1,000명 중 373명은 인도, 중국,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아이입니다. 또한 대단한 것은 미국이지요. 전 세계 최고의 부를 보유하고 있는 나라이지만 아직도 신생아 수는 적지 않습니다. 

 

 

세계의 인구 증가율은 줄어들고 있습니다.

1960년대 이후 전 세계의 인구 증가율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오해하시면 안 되는 것은 인구가 감소하는 것은 아닙니다. 증가율이 감소하는 것이니,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전 세계적으로 국가의 부가 증가하고 사람들의 삶이 윤택해질수록 아이를 낳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삶의 즐길거리가 늘어나고 다양한 여가활동을 하면서 아이를 양육하는 것보다 자신의 삶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난 탓이겠지요. 이는 거의 대부분 선진국에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또한 도시 밀집화 현상과 함께 삶의 강도가 높아지고 치열한 경쟁사회에 살게 되면서 아이를 낳지 않고는 합니다. 이 역시 세계적인 트렌드입니다. 마지막으로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실질적인 삶의 수준이 내려가게 되니, 자녀 출산을 꺼리고 있습니다. 각국의 정부는 다자녀를 보유한 가정에 다양한 혜택을 주고 있으나, 혜택을 받는 사람은 실질적인 도움이 안 된다 느끼고 있는 듯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는?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는 언어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는 무엇일까?'라는 주제로 글을 적어보려 합니다. 과거에 비해 인터넷의 번역기 수준이 향상되었지만, 아직까지는 완벽하게 대체가 불가능하지요. 다른 국가

lljjww.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