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생상품 트리오 [ 선물, 옵션, 스왑 ] 을 11편에 걸쳐 썼더니 머리 아프더군요. 다음번 글은 무조건 쉽고 간결한 투자용어를 써야겠다고 결심했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의 리포트를 보다 보면 종종 접할 수 있는 용어 [YoY, QoQ, MoM, YTD, MTD] 를 적어보려 합니다.
YoY, QoQ, MoM
애널리스트 리포트를 읽어보셨다면 꼭 한번쯤은 만나보셨을 용어입니다. YoY [Year on Year], QoQ [Quarter on Quarter], MoM [Month on Month]의 약자로, '전 [년도, 분기, 월] 대비 증감률이 얼마인가?' 를 나타냅니다.
애널리스트 리포트를 보면서 이해하면 조금 더 쉽습니다.
2021년 2월 10일 날 키움증권의 장민준 애널리스트가 발행한 KT 리포트입니다.
첫 줄에 4분기 QoQ가 3%라고 쓰여있습니다. 2019년 4분기 대비 3% 영업수익 [매출액] 이 상승했다는 뜻이 되겠지요. 영업이익은 QoQ가 -43%로 2019년 4분기 대비 -43% 하락했다는 뜻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2020년 영업수익 YoY는 2019년과 비교하여 별 차이가 없지만, 영업이익은 2019년 대비 13%가 증가했습니다.
읽다 보면 벌써 애널리스트 리포트의 내용이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영업수익은 QoQ 3% 성장했지만, 영업이익은 왜 QoQ -43%가 되었을까?'
'QoQ로 -43%나 하락했지만, YoY 13%로 어떻게 성장했을까?'
하나씩 찾아가는 재미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YTD, MTD
YTD [Year To Date], MTD [Month To Date]의 약자로, '전 [년도, 월] 초 대비 증감률이 어떻게 되는가?'을 나타냅니다. 예시를 보면 쉽게 이해가 됩니다.
'2020년 6월 YTD가 3%상승했다.' 의 뜻은,
2020년 초부터 6월 실적이 2019년 초부터 2019년 6월까지 비교했을 때, 3% 상승했다는 뜻이 됩니다.
'2020년 11월 25일 MTD 10% 하락했다.' 의 뜻은,
202년 11월 1일부터 25일까지의 실적이 2019년 11월 1일부터 25일과 비교해보니, 10% 하락했다는 뜻입니다.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틀린 정보가 있다면 고견을 남겨주세요. 보답하는 마음으로 열심히 공부하고 성장하겠습니다.
여러분 모두 성공적인 투자 하시기를 간절히 기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