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씩 뉴스를 통해 주가가 지지부진한 기업의 주주들이 기업에게 주가 부양을 위한 정책을 요구하는 시위, 불만을 이야기하는 것을 보곤 합니다.
아주 합리적이며 당연한 요구입니다. 일반 주주들은 기업의 주가가 올라야 매매 차익을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기업은 주가가 오르면 어떤 이득이 있을까요?
주가가 올라도 기업은 별 차이가 없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기업에게는 실질적인 이득이 없습니다. '주식 가격이 올랐으니 자본금이 증가한 것은 아닌가?'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는 않습니다. 자본금은 기업이 주식을 처음 발행했을 때의 액면가를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즉, 처음 발행한 액면가 5,000원 주식이 50,000원이 되어도 자본금은 아무런 변동이 없습니다.
이는 제가 작성한 글 [ 자산, 자본, 부채.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의 자본 부분을 읽어보시면 이해가 조금 더 쉽게 되실 거라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왜 기업은 주가를 부양하려 할까요?
-자금 조달이 비교적 쉽습니다.
기업은 채권을 발행하거나,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것 외에도 돈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이 많습니다. 걔 중 하나가 주식을 추가 발행하는 것이지요. 이를 증자라고 합니다. 무상으로 증자를 할 수도 있지만, 실제로 돈을 조달해야 하니 이 경우에는 유상증자가 됩니다.
만약, 어떤 기업에서 1억 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주가가 5,000원인 기업은 20,000주를 신규 발행해야 하지만, 주가가 50,000원인 기업은 2,000주만 신규로 발행하면 됩니다. 금액으로는 똑같습니다만 신규 발행 주식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한 주당 가치가 낮아지게 됩니다.
이는 차후 기업 경영진의 지분이 줄어들어 경영권 유지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경영권 방어에 유리합니다.
주식의 가격이 낮으면 외부의 누군가가 적은 돈으로 기업의 지분을 쉽게 인수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경영권을 노리는 M&A에 항상 노출되어있다는 뜻이 되기도 하지요. 기업의 경영진은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 써야 할 투자금을 경영권 방어를 위한 돈으로 써야만 합니다.
이는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을 바라볼 때 좋은 투자가 아니지요. 주가가 높으면 안정적인 회사 경영을 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기업 이미지에 영향을 끼칩니다.
얼마 전 제 동생과 맥주를 한잔하다가 '엔씨소프트'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그때 동생이 그러더군요.
"엔씨소프트? 그냥 리니지인가? 그 게임 만드는 회사 아니야?" 그래서 제가 답했습니다.
"너 엔씨소프트가 얼마나 큰 회사인지 모르는구나. 시가총액으로 엔씨소프트보다 큰 회사가 한 10개도 없을 걸? (지금 검색해보니 시가총액으로 19번째입니다) 네가 쓰고 있는 SK 텔레콤보다 큰 회사야!"
깜짝 놀라더군요. 이는 아주 단편적인 예입니다만, 어떠한 기업을 잘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시가총액으로 설명해주면 쉽게 기업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소비자들은 제품의 질을 신뢰합니다. 롯데 제과가 만든 과자와 쩡쩡 제과에서 만든 과자가 똑같더라도 롯데 제과의 과자가 쩡쩡 제과 제품보다 신뢰가 가는 게 당연합니다. 또한 시가총액이 클수록 언론 노출 빈도가 높으니 자연스럽게 기업의 홍보가 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틀린 정보가 있다면 고견을 남겨주세요. 보답하는 마음으로 열심히 공부하고 성장하겠습니다.
여러분 모두 성공적인 투자 하시기를 간절히 기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