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이야기/투자 용어

어려운 용어 없이 풀어쓰는 알파와 베타란?

by 곰같은 남자 2021. 4. 29.

블로그나 유튜브, 좋은 책을 읽어보신다면 가끔씩 알파베타라는 단어를 마주한 적이 있을 겁니다. '공격적으로 알파를 추구한다느니, 철저하게 베타를 따라가겠다느니' 등으로 말하지요. 너무나 당연히 알고 있어야 한다는 듯이 특별한 설명도 없습니다. 그만큼 많은 투자자들이 보편적으로 쓰는 용어입니다.

오늘 글을 통해 느낌이라도 알고 계시면 앞으로 글을 읽으시거나, 다른 투자자분들과 이야기를 나눌 때 좀 더 편하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베타 투자를 이해해야 알파 투자가 이해하기 쉬우니 알파, 베타 순서를 바꿔, 베타 투자부터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베타 투자

전체 금융 시장의 변동 그 자체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철저하게 투자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이 만들어낸 손익률만큼 얻겠다는 뜻입니다. 저 같은 자산배분 투자자가 베타 투자에 속하게 됩니다.

KOSPI 지수가 1,000에서 1,100으로 10% 상승했다면 KOSPI 지수에 투자한 베타 투자자의 수익률은 10%가 되겠지요. 

출처 : 픽사베이

 

투자의 난이도는 매우 낮습니다. 우리나라 KOSPI지수를 추종하고 싶다면 KOSPI 2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하나만 사면 됩니다. 다른 투자 지표를 추종하겠다고 결심하지 않는 한 적극적으로 매수 매도를 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투자에 들어가는 비용도 매우 저렴합니다.

저 같은 경우, 작년에 Tiger200을 산 이후 한 번도 매도한 적이 없습니다. 이는 비용의 절감입니다.

 

하지만 수익의 변동폭이 그리 크지는 않습니다.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드라마틱한 수익률을 보여줬지만, 이는 10년에 한 번씩 오는 아주 독특한 시장입니다. 보통 이런 일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수익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는 뜻은 리스크가 적은 투자 방법이라는 이야기와도 같습니다. 우리나라 KOSPI 전체에 베팅을 하는 것이니, IMF급 위기로 국가 경제 근간이 흔들리는 사건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크게 하락하는 일이 없습니다.  

 

 

알파 투자

많은 투자자분들이 하시는 투자 방법입니다. 오를 것 같으니 매수를 하고, 떨어질 것 같으면 파는 등의 개인의 주관이 강하게 들어간 적극적인 투자 방법입니다. 보통은 하나의 종목을 선택하고 다양한 지표를 분석한 후, 타이밍에 맞게 매매를 합니다.

 

그렇기에 투자의 난이도가 높습니다. 수많은 종목 중에 좋은 기업을 선별해야 하고, 수익이 날만한 타이밍에 매수를 해야 합니다. 물론 매도할 때에도 적정 주가를 잘 판단하여 최대한 높은 수익 지점에서 팔고 나와야겠지요.

아무래도 베타 투자자보다는 투자 회전율이 높기 때문에 약간의 거래세나 증권사 수수료 비용도 감안을 해야 합니다.

출처 : 언스플래쉬

 

베타 투자에 비하면 수익의 변동폭이 큽니다. 매일 같이 상한가를 치는 종목들이 나오고, 뉴스와 실적에 따라 사람들이 몰려 주가가 폭등하기도 하지요.

하지만 주의해야 합니다. 수익의 변동폭이 크다는 것이 언제나 상승으로만 연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투자자들이 많아질수록 크게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베타 투자보다는 리스크를 크게 짊어지고 하는 투자 방법입니다. KOSPI는 망할 일이 없어도 기업은 망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알파 투자자는 베타 투자자를 무조건 이겨야 합니다. 

코스피 지수가 1,000포인트에서 1,100포인트가 되어 10% 상승했다면 베타 투자자는 10% 수익을 얻게 됩니다. 하지만 알파 투자자가 똑같은 상황에서 5% 수익을 얻었다면 전체 시장보다 5%를 미달한 투자 성과를 거둔 것이 됩니다. 

물론, '그래도 5%라도 수익이 난 게 어디야!'라고 말할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말하면 그냥 우리나라 주식 전체를 사두고 아무것도 안 한 것이 더 성과가 좋았다는 뜻이 됩니다. 

출처 : 언스플래쉬

 

그렇기에 알파 수익률을 이야기할 때에는 베타 수익률을 빼고 이야기합니다. 

이를 테면, 베타 수익률이 10%인데 자신이 20%의 수익률을 올렸다면 알파 수익률은 10%가 됩니다. 베타 수익률이 10%인 경우에 자신이 5%의 성과를 올렸다면 알파 수익률은 -5%입니다.

"아니, 내가 전체 시장 수익률보다 더 수익을 못 내겠어? 이거 이거, 나를 너무 무시하는구먼" 하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이는 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매매 횟수가 잦으면 잦을수록 굉장히 이루기 어려운 성과입니다. 

 

추천 글 : [ 성공하는 집중 투자의 3가지 원칙 ]

추천 글 : [ 나의 투자 실력은 평균 이상일까? ]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틀린 정보가 있다면 고견을 남겨주세요. 보답하는 마음으로 열심히 공부하고 성장하겠습니다.

여러분 모두 성공적인 투자 하시기를 기원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