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이야기/투자 공부

[투자공부] ETF 구성 종목을 확인해보자 [미국, 한국 모두 설명해요]

by 곰같은 남자 2021. 1. 20.

이 카테고리의 글은 많은 학식과 뛰어난 투자 실력을 가지신 분들을 위한 글이 아닙니다.

저처럼 이제 막 투자를 공부하시는 분들, 혹은 단순한 궁금증에 찾아오신 분들이 조금이라도 쉽게, 즐겁게 이해하시기를 바라는 데에 목적이 있습니다. 틀린 정보가 있다면 고견을 남겨주세요. 그에 보답하는 마음으로 열심히 공부하고 성장해 나가겠습니다. 또한, 이 글을 읽는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쩡입니다.

며칠 전 초보자를 위한, 가장 쉬운 ETF라는 주제로 글을 쓰면서 국내 상장된 ETF의 구성 종목 확인 방법을 적었습니다. 반면에 미국 시장에 상장된 ETF 확인 방법은 적지 않았습니다. 이야기가 너무 길어질 것 같았습니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해보니 미국 시장에 상장된 ETF 종목 구성을 확인하는 방법도 궁금해하실 분들이 많을 것 같았습니다. 미국 ETF 투자를 하려는데 어떤 종목이 들어있는지도 모른 채로 무작정 살 수는 없으니까요. 그래서 이 참에 블로그에 글을 하나 더 올린다는 생각으로 미국 시장에 상장된 ETF의 구성 종목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지난번에 한국 ETF 구성 종목 확인 방법을 적었지만, 처음 방문하시는 분들을 위해 한국 ETF 먼저 설명하고, 미국 ETF를 적겠습니다.  

 

한국 ETF 구성 종목 확인 방법

HTS나 MTS에서도 확인이 가능하지만, 사용하시는 각 증권사마다 방법이 다르고, 인터페이스가 한눈에 들어온다는 느낌이 들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네이버 증권을 추천합니다. 깔끔하게 정리가 잘 되어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 증권

네이버 증권(금융)에 들어오셔서 맨 위의 검색창에 검색을 하시면 됩니다. 만약 ETF 정확한 이름을 모른다면, 운용사 이름만 쳐도 나옵니다. 운용사 이름은 제가 작성해 둔 초보자를 위한, 가장 쉬운 ETF 1편 에 정리해두었습니다. 

 

출처 : 네이버 증권

저는 제가 갖고 있는 Tiger 200 ETF를 확인해보겠습니다. 

 

출처 : 네이버 증권

화면의 아래쪽을 보시면 ETF 분석이 보입니다. 클릭하시면 됩니다. 이 곳에서 ETF 관련 대부분의 내용이 확인 가능합니다.

 

출처 : 네이버 증권

상품 설명도 나오네요. 읽어보면 어떤 ETF인지 감이 잡히실 겁니다. 조금 더 아래로 내리면 초보자를 위한, 가장 쉬운 ETF 2편 에 설명한 NAV와 괴리율이 나옵니다. 그리고 바로 밑에 구성 종목 비율이 나옵니다. 오른편에는 ETF 내에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종목 TOP10이 나오고, 왼쪽의 스크롤을 내리면 전 구성 종목의 비율이 나옵니다. 삼성전자가 압도적으로 높네요. 그만큼 우리나라 주식 비중에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압도적이라는 뜻이기도 합니다. 

 

미국 ETF 구성 종목 확인 방법 

출처 : ETF.com

미국 ETF은 ETF.com 이라는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링크를 누르시면 위와 같은 화면이 열립니다. 맨 위의 검색창에 찾아보고 싶은 ETF Ticker(종목 코드)를 검색하신 후, Fund Reports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이마저도 귀찮다면, 주소창에 ETF.com/[ETF Ticker(종목코드)]를 입력하셔도 됩니다. SPYG 같은 경우는, 'ETF.com/spyg'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출처 : ETF.com

인터페이스는 네이버 증권과 거의 흡사합니다. 일단 가장 먼저 상품 설명이 나옵니다. 대충 읽어보니, S&P 500 지수에서 매출 성장, 수익 변화 비율, 모멘텀 등을 기준으로 약 300개 정도 추린 펀드랍니다. IVW와 VOOG와 경쟁하고 있으며, 때때로 미들캡도 포함하네요. 구글 번역기 돌렸습니다.

 

출처 : 네이버 증권

평균 거래량, 경쟁 ETF, 규모, 분배금 비율, 편입 종목 수 등의  ETF 요약본도 나옵니다.

 

출처 : 네이버 증권

아래로 좀 더 내리면 드디어 구성 종목이 나옵니다. 나라별 / 섹터별 / TOP10 보유종목이 나옵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비율이 30%네요. 그 외에도 페이스북, 알파벳, 테슬라, 엔비디아, 페이팔, 어도비 등 모두가 알만한 쟁쟁한 회사들로 분산 투자되어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 증권

TOP 10 Holding 옆의 [View All]을 누르시면 전체 종목 확인이 가능합니다.

 

저는...

보수적인 자산배분이 운용되고 있기 때문에 S&P 500 Growth [SPYG]를 매수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 ETF 구성 종목을 살펴보고 자신의 투자 성향과 비교한 후에 매수하시면 됩니다. 만일, 공격적으로 한국 주식을 하고 있다면, 미국의 주가 방어 ETF 종목을 찾아서 매수하는 것도 나쁘지 않겠지요. 배당 성향의 투자자라면 환헷지(Hedge)를 위해 일정 비율 달러 배당을 받는 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일 듯합니다. 위의 설명해드린 방법으로 ETF 구성 종목을 확인해보신다면 자신에게 어울리는 ETF를 찾을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절대 투자 의견은 아닙니다. 그럴 깜냥이 못 됩니다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분 모두 성공적인 투자 하시기를 간절히 기원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