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이야기/투자 용어57 [투자용어] 초보자를 위한 헷지 설명, 어렵지 않아요! [투자 용어] 카테고리의 글들은 제가 공부하고 이해한 내용을 최대한 쉽고, 가독성이 좋게 적는 데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제 막 투자를 공부하시는 분들, 혹은 단순한 궁금증에 찾아오신 분들이 제 블로그를 통해 쉽고, 즐겁게 이해하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작성한 글들에 종종 헷지(Hedge)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최대한 풀어서 쉽게 한글로 쓰려고 노력하지만, 헷지는 정말 마땅히 대체할 표현이 없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앞으로 글을 작성하면서 계속 쓰게 될 '헷지'가 무엇인지 간단하게 적어보려 합니다. 헷지란? 대비책, 울타리라는 뜻을 가진 영어 단어입니다. 헷지 한다는 말은 "위험을 분산하여 변동성을 완화시킨다"는 뜻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자산배분 투자자들이 주로 헷지를 많이 이용합니다... 2021. 1. 19. [투자용어] 보통주? 우선주? 차이가 뭔가요? [우선주 설명 / 장단점] [투자 용어] 카테고리의 글들은 제가 공부하고 이해한 내용을 최대한 쉽고, 가독성이 좋게 적는데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제 막 투자를 공부하시는 분들, 혹은 단순한 궁금증에 찾아오신 분들이 제 블로그를 통해 쉽고, 즐겁게 이해하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MTS / HTS를 통해 종목을 검색하다 보면 가끔씩 종목 뒤에 '우'라고 적혀있는 종목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사진처럼 말이지요. 종목명 뒤에 적힌 '우'는 우선주라는 뜻입니다. 삼성전자우라고 쓰여있으니, 삼성전자 우선주가 됩니다. 우선주? 아직 뭔지는 모르겠지만, 우선한다니 좋아 보이기는 합니다. 과연 무엇을 우선한다는 것일까요? 우선주는 무엇을 우선하나요? 주식을 보유하는 것은 회사의 지분을 보유하고 회사의 주인이 된다는 뜻입니다. 회사.. 2021. 1. 17. [투자용어] 코스닥 [KOSDAQ] 시장 상장 요건 [투자 용어] 카테고리의 글들은 제가 공부하고 이해한 내용을 최대한 쉽고, 가독성이 좋게 적는데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제 막 투자를 공부하시는 분들, 혹은 단순한 궁금증에 찾아오신 분들이 제 블로그를 통해 쉽고, 즐겁게 이해하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번 KOSPI 시장 상장 요건 글에 이어서 KOSDAQ 시장 상장 요건에 대해서 적어보려 합니다. KOSPI / KOSDAQ의 차이점은? 글에서 KOSPI와 KOSDAQ 시장의 차이점도 적어두었으니 읽어보시면 KOSPI / KOSDAQ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KOSDAQ은 KOSPI에 비해서 상장 요건이 대폭 완화되어 있습니다. 일반기업(벤처기업 포함)과 기술성장기업의 상장 요건이 다르기 때문에 따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2021. 1. 14. [투자용어] 코스피[KOSPI] 시장 상장 요건 오늘은 KOSPI 상장 요건에 대해서 적어보려 합니다. KOSPI / KOSDAQ의 차이점을 적은 글은 링크를 클릭하시면 읽으실 수 있습니다. KOSPI 상장 요건은 크게 [규모 / 분산 / 경영 성과 / 안전성 및 건전성] 4가지로 나눠집니다. 내용이 어렵지는 않은데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읽으시기에 헷갈릴 수 있습니다. 최대한 가시성이 좋게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규모 요건 1. 자기자본 : 300억 원 이상 2. 상장주식수 : 100만 주 이상 2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분산 요건 1. 주식수 [아래 요건 중 한 가지만 충족하면 됩니다] 1) 일반주주의 소유 비율이 25% 이상 또는 500만 주 이상. 2) 공모 주식수의 25%이상 또는 500만 주 이상 3) 자기자본 비율에 따라 일정 .. 2021. 1. 13. 이전 1 ··· 11 12 13 14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