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이야기/투자 용어57

주식 수급 주체 개인, 외국인, 기관은 누구인가요? 주식 투자를 하시다 보면 '기관이 얼마를 샀다', '외국인이 얼마를 팔았다'와 같은 이야기를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습니다. 단기 매매를 하시는 분들은 특히나 종목 수급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단기적으로 향후에 주가 방향을 예측해보는 지표 중에 한 가지로 쓰기 때문입니다. 주식 시장에 참여한 모든 투자자는 위와 같이 증권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매매한 투자자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개인 투자자 저 같은 사람, 우리 같은 일반인 투자자입니다. 비교적 소액으로 주식 투자를 하는 사람들입니다. 때로는 슈퍼 개미라 불리는 사람들도 있으나,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자에 비하면 역시나 소액입니다. 비교적 소수의 사람들이 큰 금액으로 운용하는 외국인, 기관 투자자들에 반해, 개인 투자자들은 각각 자신의 판단에 의해 .. 2021. 4. 30.
어려운 용어 없이 풀어쓰는 알파와 베타란? 블로그나 유튜브, 좋은 책을 읽어보신다면 가끔씩 알파와 베타라는 단어를 마주한 적이 있을 겁니다. '공격적으로 알파를 추구한다느니, 철저하게 베타를 따라가겠다느니' 등으로 말하지요. 너무나 당연히 알고 있어야 한다는 듯이 특별한 설명도 없습니다. 그만큼 많은 투자자들이 보편적으로 쓰는 용어입니다. 오늘 글을 통해 느낌이라도 알고 계시면 앞으로 글을 읽으시거나, 다른 투자자분들과 이야기를 나눌 때 좀 더 편하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베타 투자를 이해해야 알파 투자가 이해하기 쉬우니 알파, 베타 순서를 바꿔, 베타 투자부터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베타 투자 전체 금융 시장의 변동 그 자체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철저하게 투자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이 만들어낸 손익률만큼 얻겠다는 뜻입니다. 저 같은 자산.. 2021. 4. 29.
유한회사란? 장점과 단점, 주식회사와의 차이점까지! 주식 투자가 대중화되면서 더 이상 주식회사라는 개념이 낯설지 않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모든 회사가 주식회사 형태로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상법에 따라 유한회사, 합명회사, 합자회사 등의 형태를 띤 회사들도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유한회사의 개념을 적어보려 합니다. 생각 외로 유한회사 형태의 기업은 쉽게 마주하실 수 있기에 간략하게나마 알아두시면 필히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유한회사란? 1명 이상의 유한책임사원으로 만들어진 회사입니다. 사원이라는 단어 때문에 헷갈리실 수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사원은 우리 머릿속에 있는 직장에 면접 보고 입사한 저 같은 일반 직원이 아니라, 회사 설립 시에 자본금을 투자한 사람들을 일컫는 말입니다. 동업자의 개념으로 생각해도 무리가 없을 듯.. 2021. 4. 28.
화폐개혁 리디노미네이션이란? 장점, 단점, 대한민국과 해외 사례 우리나라 화폐는 전 세계적으로도 0이 많기로 유명합니다. 과거에 비해 물가가 많이 올라 1원이라는 돈은 가치가 없는 돈이 되어버렸지요. 10원도 돈의 가치가 거의 없습니다. 100원 쯤되어야 땅바닥에 떨어진 동전을 주울까 말까 고민이 됩니다. 그렇기에 기억에서 잊을만하면 한두 번씩 뉴스에 나오는 화폐 개혁과 리디노미네이션(redenomination)에 대해서 적어보려 합니다. 리디노미네이션이란? Re '다시'와 Denomination '통화 단위의 호칭 절하'라는 단어의 합성어입니다. 통화의 가치는 그대로 두고 액면가를 동일한 비율로 낮추는 것을 뜻합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1,000원을 1원으로 바꿔버리는 거지요. 이때 화폐의 가치는 변함이 없습니다. 먼 훗날의 이야기라 생각할 수 있지만, 생각 외로 우.. 2021.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