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이야기/투자 공부103 데이터 트래픽 점유율로 보는 빅테크 기업의 가치 전 세계 애플리케이션의 총개수는 셀 수도 없이 많을 테지만 우리가 쓰는 애플리케이션은 한정적입니다. 저는 유튜브, 네이버 웹툰, 카카오톡 정도가 바로 떠오릅니다. 아마도 대부분 비슷할 텐데 이러한 상위 몇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전 세계의 인터넷 트래픽을 대부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트래픽을 사용하는 기업과 애플리케이션은 무엇일까요. 가장 많은 트래픽을 쓰는 애플리케이션은 비디오 스트리밍입니다. 전 세계 트래픽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Android Central에 따르면 480p 동영상의 경우 시간당 0.7GB, 1080p는 1.5GB, 최고 해상도인 4K는 시간당 7.2GB의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21년 현재 유튜브가 48%, 틱톡이 16%, 페이스북 비디오.. 2021. 12. 24. 클레이 코인과 카카오톡 클립 지갑 생성 방법 카카오 클립(klip)은 카카오의 자회사인 그라운드 X에서 만든 클레이튼 기반의 코인(토큰)을 담을 수 있는 지갑입니다. 일명 카카오 코인으로 불리지요. 카카오톡 유저라면 매우 쉽게 카카오 클립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클립을 만드는 방법과 함께 클레이튼(Klaytn)과 클레이(Klay)가 무엇인지, 카카오 클립 장점에 대해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클레이튼과 클레이란? 많은 분들이 클레이튼과 클레이를 같은 코인으로 생각하지만 개념이 다릅니다. 클레이튼은 블록체인 개발 플랫폼으로, 하나의 생태계를 이야기합니다. 보통 클레이를 클레이튼 기반 토큰이라는 식으로 표현을 하지요. 클레이튼 생태계 내에서 서비스를 개발하게 되면 이용료를, 사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거래 비용을 클레이 코인으로 지불합니다. 그.. 2021. 12. 22. 리스크와 수익률 관계. 하워드 막스 리스크 차트 오늘은 리스크와 수익률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이에 관한 굉장히 유명한 차트가 하나 있는데, 바로 하워드 막스의 리스크-리턴 차트입니다. 제 주변에는 굉장히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친구가 한 명 있습니다. 어차피 제 돈도 아니고 제가 한 이야기 때문에 매수를 안 했는데 주가 엄청 오르면 핀잔 듣기 딱 좋은 상황이라 그냥 묵묵히 보고만 있는 편이지요. 그래도 가끔씩 "야... 이거 너무 위험한 거 같은데...?"라고 말하면, 꼭 돌아오는 대답이 있습니다. "야 인마! 아이고...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몰라?, 원래 리스크가 큰만큼 수익도 많이 나는 거야! 기다려봐. 형이 돈 벌어서 고기 사줄게" 주가가 오르면 고기를 얻어먹을 수 있고, 주가가 하락하면 우울해하며 고기나 먹으러 가자고 하니 어차피 .. 2021. 12. 20. 정말 쌉니까? 추가 매수 물타기 전, 한번 더 생각해보세요 작년 엄청난 수익률로 수백만 주식 투자자들을 만들어낸 코스피가 최근에는 힘을 못 쓰고 있습니다. 3,000을 간신히 유지하는 모습을 보이며 때에 따라서는 2900선까지도 떨어지더군요. 코스피가 100포인트 정도 하락했다고 하면 많은 개별 종목들은 크게 하락한 주식들도 분명히 있을 겁니다. 이때 이런 생각이 들게 됩니다. '아, 저가 매수 타이밍이다.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게 투자의 기본 아니겠어?' 하지만 단순히 가격이 전에 비해 내려왔다고 좋은 투자의 기회라 생각하는 것은 그다지 좋은 판단이 아닐 수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나라보다 훨씬 좋은 수익률을 거두고 있는 미국 증권 시장의 자료를 이용하여 글을 적어볼까 합니다. 싸게 사서 비싸게 판다? 올해 S&P500은 과거와 비교했을 때 변동성이 가장 낮은.. 2021. 12. 1. 이전 1 2 3 4 5 6 7 8 ··· 26 다음